이번 글에서는 컴퓨터 인터넷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미수령 국세 환급금을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종합 소득세 등의 세금을 내는 기간이 되면 절세, 환급금에 대해서 관심이 많이 가질 수 밖에 없습니다. 미수령 국세 환급금은 인터넷만 된다면 컴퓨터, 스마트폰 앱 등 여러 방법으로 조회해서 찾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먼저 인터넷이 되는 컴퓨터에서 국세청 홈페이지에 접속해 미수령 국세 환급금을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 미수령 국세 환급금
- 미수령 국세 환급금을 늦지 않고 빨리 수령해야 하는 이유
-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미수령 국세 환급금 조회 방법 요약
-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미수령 국세 환급금 조회 상세 바업
미수령 국세 환급금
미수령 국세 환급금은 원천징수, 중간에 미리 세금을 납부하는 중간예납 등으로 납부한 세금이 납부해야 할 세금보다 많을 때 또는 납세자의 환급 신고, 근로 장려금 신청, 자녀 장려금 신청 등 여러 가지 사유로 발생합니다. 미수령한 국세 환급금이 있으면 국가 정부에서 따로 통지해주기도 하지만, 납세자가 통지서를 받지 못하는 상황 등으로 미수령 국세 환급금이 있다는 사실 조차 모를 때가 많습니다.
미수령 국세 환급금을 늦지 않고 빨리 수령해야 하는 이유
미수령 국세 환급금이 발생했는데 수령하지 않고 잠들어 있는 채로 계속 두면 국가에서도 평생은 기다려주지 않습니다. 미수령 국세 환급금은 국세청이 납세자에게 환급금이 있다고 통보하고 5년 내로 찾아가지 않으면 미수령 국세 환급금은 국고에 귀속됩니다. 더구나 이 미수령 국세 환급금은 매년 많아지고 있습니다. 2018년에는 미수령 국세 환급금이 무려 656억이나 되었습니다. 미수령한 국세 환급금이 많아질수록 국가에서도 계속 보관하고 기다려주면 그만큼 오히려 국가적인 손해와 낭비이기 때문에 이런 소멸시효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세금 시스템에 불만이 많은 시민이 많으며, 심지어는 국회의원들도 복잡한 시스템 때문에 국민들이 피해를 본다며 비판했습니다. 그러나 세금 시스템이 더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바뀌기 전에 일반인인 대부분의 국민은 직접 고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그저 우리 스스로 알아서 찾고 움직이는 수밖에 없습니다. 세금이 너무 많게 나왔다 싶으면 이 포스팅에서 알려주는 미수령 국세 환급금 조회 방법을 통해 미수령한 국세 환급금이 얼마나 있는지 알아봅시다.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미수령 국세 환급금 조회하는 방법 요약
- 국세청 홈페이지 접속
- '자주찾는 서비스'에서 '국세환급금 찾기' 클릭
- 인적 사항 입력
- 조회하기 버튼 클릭
- 미수령 국세 환급금 확인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미수령 국세 환급금 조회하는 상세 방법
미수령 국세 환급금을 조회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먼저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미수령 국세 환급금을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1. 국세청 홈페이지(nts.go.kr)에 접속합니다.
2. 화면 중간에서 '자주찾는 서비스'에서 '국세환급금 찾기'를 클릭합니다.
3. 내국인인지 외국인인지 납세자구분을 선택하고, 주민등록번호 (또는 사업자등록번호), 성명 (또는 상호)를 입력한 뒤 '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4. 미수령 국세 환급금이 얼마나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저는 미수령한 국세 환급금이 없습니다.
이렇게 오늘은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미수령 국세 환급금 조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돈을 많이 벌어서 세금을 많이 내는 분 또는 세금을 미리 자주 납세하는 분이시라면 미수령한 국세 환급금이 나올 일이 많을 수 있습니다. 여러분들도 꼭 확인하셔서 조금이라도 환급금을 얻어 가시는 일이 있길 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이 많은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버튼 눌러주시고,
카톡이나 페이스북 등 여기저기 공유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